본문 바로가기
내돈내산

삼일절 3.1절 태극기 의미, 유래, 구매처, 태극기 게양하는 법

by 야생약초 2023. 2. 28.

 

3.1절 (3월 1일 공휴일)

1919년 3월 1일,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


'태극기'란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국기. 1876년(고종13) 1월, 우리나라에서 국가 제정에 대한 논의가 처음 있었다.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한일 사이에 강호도조약 체결이 논의되는 동안, 일본은 <운양호에는 엄연히 일본국기가 게양되어 있었는데, 왜 포격했느냐?>며 트집을 잡았으나, 조선은 <국기>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었다. 이 일을 계기로 조정에서 비로소 국기 제정의 필요성이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했고, 1882년 8월 9일 수신사 박영효 등 일행이 인천에서 일본 배를 타고 도일할 때 당장 게양해야 할 국기가 있어야겠다 생각하여, 그전에 이미 조정에서 대략적으로 정해진 국기 도안내용을 살짝 고쳐 태극사괘의 도안이 그려진 기를 만들었다. 8월 14일, 이들 일행은 고베에 도착해 숙소 건물 지붕 위에 이 기를 게양했는데, 그것이 태극기의 효시가 되었다. 1883년 조정에서 이것을 정식 국기로 채택, 공포했고, 대한민국 수립 이후 1949년 문교부에서 42인의 국기시정위원회의 수차례 논의를 거쳐 음양과 사괘의 배치안을 결정, 오늘에 이르렀다. 
 

1882년 박영효가 사용한 국기 모양 (C)위키미디어

태극기 이름의 유래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을 하던 때부터 유래되었다. 이날 서울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문 낭독과 함께 전국적으로 대한독립만세 운동을 펼치기로 하였다. 조선의 남녀노소는 모두 손에 '기'를 들고 나오기로 했고, <조선국기>로 부르던 국기 이름을 일본인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태극기>로 부르자고 내정하면서 부터 이름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태극기 사괘에 담긴 의미

태극기 사괘에 담긴 의미 (C)위키미디어

태극기 게양 시간

각 가정에서는 3월 1일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태극기를 게양한다. (단, ⌜대한민국 국가법⌟ 제8조에 의거 매일 24시간 달 수 있음)
단, 심한 비바람(악천후) 등으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달지 않아야 한다.
 

가정에서 태극기 게양 위치

밖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문(아파트 등 공동주택인 경우 각 세대의 난간)의 중앙 또는 왼쪽편에 단다.
*주택구조상 부득이한 경우, 태극기 다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자녀와 함께 달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는 강풍 등으로 태극기가 떨어져 인명피해, 시설 및 재물파손 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
 

태극기 구입 방법

-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시청, 구청, 군청 및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등)
-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오염 및 훼손된 태극기는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 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국가수거함에 처리하여야 함